분류 전체보기254 기독교와 자본주의 4 - 칼빈이 해석한 성경의 직업관 이 글을 쓰기 전에 다시 한번 여러분들께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이 글을 보시고 계시는 여러분의 종교가 무엇이든 기독교(개신교)로 인해 생겨난 자본주의의 기원을 알고 싶다면 그 사상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기독교와 자본주의 시리즈기독교와 자본주의 1 - 인류의 삶의 질이 바뀌다기독교와 자본주의 2 - 성경으로 돌아가자기독교와 자본주의 3 - 칼빈이 해석한 성경의 노동관 기독교와 자본주의 5 - 칼빈이 해석한 성경의 재물(연봉, 월급) 관기독교와 자본주의 6 - 칼빈이 해석한 성경의 대부 및 투자관기독교와 자본주의 7 - 기독교에서 나온 자본주의는 무엇이 다른가?빨간 글씨를 클릭하면 해당 글로 이동합니다.칼빈의 사회와 공동체관칼빈의 직업관은 그가 사회와 공동체를 어떻게 봤는지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그.. 2024. 7. 18. 기독교와 자본주의 3 - 칼빈이 해석한 성경의 노동관 기독교와 자본주의 2에서 여러분이 기독교(개신교)에서 촉발된 자본주의에 대해 알고 싶다면 여러분이 개인적으로 믿고 있는 종교가 무엇이든 칼빈의 기독교강요를 이해해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제가 이 글의 제목을 칼빈이 해석한 성경의 노동관이라고 지었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칼빈은 종교개혁자로서 기독교(개신교)의 교리와 체계를 잡았고 그 모든 것이 기독교 강요에 있습니다. 그런데 그가 기독교강요를 쓸 때 성경을 절대적인 기반으로 하여 썼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기독교강요에 있는 노동관은 성경의 노동관과 동일한 것입니다. 기독교와 자본주의 시리즈기독교와 자본주의 1 - 인류의 삶의 질이 바뀌다기독교와 자본주의 2 - 성경으로 돌아가자 기독교와 자본주의 4 - 칼빈이 해석한 성경의 직업관기독교와 자본주의.. 2024. 7. 16. 기독교와 자본주의 2 - 성경으로 돌아가자 저번 포스팅에서 저는 기독교 중에 개신교가 자본주의를 불러왔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한 그래프를 보여드렸는데 다시 한번 보시겠습니다. 위의 그래프를 보시면 서기 1년부터 서기 1500년까지 세계 총생산이 거의 늘어나지 않는 0에 가깝다가 서기 1500년경 부터 인류에게 있어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갑자기 총생산이 조금씩 높아지기 시작합니다.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서양사를 배우다 보면 1500년 경, 큰 사건이 하나 일어나는데 바로 루터의 종교개혁입니다. 기독교와 자본주의 시리즈기독교와 자본주의 1 - 인류의 삶의 질이 바뀌다 기독교와 자본주의 3 - 칼빈이 해석한 성경의 노동관기독교와 자본주의 4 - 칼빈이 해석한 성경의 직업관기독교와 자본주의 5 - 칼빈이 해석한 성경의 재물(연봉, 월급) 관기독교와.. 2024. 7. 14. 기독교와 자본주의 1 - 인류의 삶의 질이 바뀌다 여러분들은 자본주의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무엇입니까? 대량생산? 상품의 홍수? 아니면 사치? 어떤 것입니까? 그러나 단순히 산업혁명에 의한 대량생산, 또 그로 인한 상품의 홍수 등만으로 자본주의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제가 한 그래프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위의 그래프는 세계의 총 생산 그래프 입니다. 기간은 서기 1년부터 서기 2015년까지입니다. 이 그래프를 보면 몇 가지 사항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서기 1년 부터 서기 1500년까지는 경제성장률이 거의 0에 가까웠다. 2) 인류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모르겠지만 서기 1500년부터 경제성장이 조금씩 일어나면서 세계 총생산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3) 대량생산으로 극히 풍요로워진 시대는 인류역사 전체를 놓고 봤을 때 매우 최근의 .. 2024. 7. 12.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