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com, pub-5408680833476551, DIRECT, f08c47fec0942fa0 조선왕조 쇠망사 4 - 주자성리학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조선왕조 쇠망사 4 - 주자성리학

by 개인주의자 2024. 11. 11.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선의 통치이념이었던 주자성리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자성리학은 송나라가 여진족의 금나라에게 침략당해 황허유역을 빼앗기고 양자강 유역으로 남하한 남송 때의 사람인 주희라는 사람에 의해 제창된 학문입니다.

 

 

주자성리학은 어떤 학문인가?

주희(주자)는 주자성리학을 어떻게 그리고 왜 만들었을까요?

1) 주자성리학은 남송의 대의명분용 학문이었다

송 왕조는 역대 중국왕조 중에서 가장 약한 왕조였습니다. 송 태조 조광윤이 5대 10국 하나였던 후주의 무장이었음에도 그랬습니다. 조광윤은 진교의 변이라는 사건을 통해 당시 7살 이었던 공제에게 왕위를 양위받음을 통해 송나라를 건국했습니다.

 

진교의 변은 군인들이 전란의 시대에 어린황제에게 불안을 느껴 조광윤을 황제로 추대한 것이었기 때문에 조광윤은 송나라를 세우고 나서 무인들의 권한을 빼앗아 군벌세력의 성장을 견제하면서 문치적 중앙집권제 국가를 세웠습니다. 즉 자신도 군벌과 무인들에 의해 쫓겨날 것이 두려웠던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송나라는 중국 역대왕조 중 가장 약한 왕조가 되고 말았습니다. 당시 송나라 북쪽에는 거란이 세운 요나라가 있었는데 요나라는 송나라에게 조공을 요구하고 계속 괴롭혔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만주에서 여진족이 금나라를 세웠습니다. 송나라는 이이제이 계책을 짜서 금나라에게 요나라에 대해 협공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이에 금나라는 송나라의 제안을 받아들였고 결국 거란족의 요나라를 서쪽으로 몰아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그 이후 공동의 적이 없어진 금나라는 송나라를 공격하여 송나라를 양자강 이남으로 몰아내는 데 성공하고 화북지방을 차지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2명의 송 황제가 잡혀가는 등 많은 수모를 겪었습니다.

 

그 수모에 대해 정신승리용으로 만들어 진 것이 주자성리학인 것입니다.

 

좌 - 북송, 우 - 남송

 

2) 주희(주자)는 유학의 일부를 재해석했다

주자는 유학의 여러 텍스트 중 일부를 재해석하여 주자성리학을 만들었습니다. 주자의 재해석에 대한 예를 보면

 

자공 - 정치가 무엇입니까?

공자 - 충분히 먹게하고, 충분히 군비를 갖추고, 백성의 신뢰를 얻는 것이다.

자공 - 부득이하게 하나를 포기해야 한다면 셋 중 무엇을 포기합니까?

공자 - 군사를 포기한다.

자공 - 부득이 또 포기하면 무엇을 버려야 합니까?

공자 - 먹는거다,. 자고로 모든 것은 소멸한다. 그러나 백성들로부터 신뢰를 얻지 못하면 나라가 설 수 없다.

- 논어 안연편

 

위의 논어 텍스트를 3000년 뒤에 태어난 주희는 이렇게 해석했습니다.

 

백성이 먹지 않으면 반드시 죽지만, 죽음이란 사람이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믿음이 없으면 비록 살더라도 자립할 수 없으니 죽어 편해지는 것만 못하다. 그러므로 차라리 죽을지언정 백성에게 믿음을 잃지 말 일이며, 백성 또한 차라리 죽게 할지언정 나에게 믿음을 잃지 않게 하는 것이다. - 주자집주

 

위의 논어 텍스트와 아래의 주자가 해석한 내용의 차이를 아시겠습니까? 논어 텍스트에서 공자는 먹는 것과 군비와 백성의 신뢰가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후 공자가 군사와 먹는 것을 포기하라고 한 것은 자공이 부득이한 상황에서 할 것을 질문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3000년 뒤 주자는 논어 텍스트를 다르게 해석함으로써 군사가 약해 건국당시부터 이민족들에게 괴롭힘을 당해왔던 송나라의 상황을 합리화시켰습니다. 즉 송나라는 군사는 약해서 이민족의 괴롭힘을 당해왔자민 백성들에게 믿음은 잃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3) 주자는 유학에 형이상학적인 개념들을 합쳤다

주자는 유학의 개념에 불교와 도교 그리고 북송시대 때 만들어진 여러 학자들의 형이상학적 개념을 합쳤습니다. 그래서 유학에서 말하는 인간이라면 마땅히 해야 할 인과 예같은 것의 명분을 우주적인 형이상학적인 것으로 부여했던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결과적으로 단순히 '해야한다'에서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으로 명분이 매우 강해지며 그것을 하지 않는 이민족들은 상종하지 말아야 할 금수와 같은 존재가 되어버림과 동시에 그것들을 행하고 있는 자신들은 도리를 아는 최고의 문명국이 되어버립니다.

 

그렇다면 주자가 유학에 합쳤던 형이상학적 개념이 무엇이었으며 어디서 온 것일까요?

 

북송오자

주돈이 - 세상의 근본(무형)으로서 태극, 음과 양의 조화

소옹 - 현상계(세계)의 구조를 음과 양으로 설명

장재 - 세상만물은 기로 구성, 태어남은 기가 뭉침, 죽음은 기가 흩어짐

정호 - 하늘과 인간은 하나라는 개념으로 심성과 도덕성 강조

정이 - 본성의 이치를 탐구함, 이(理)가 모든 존재의 근본이라 주장

 

위의 다섯 인물의 사상을 주자가 자신의 입맛에 맞게 해석하여 유학과 합친 것이 바로 성리학입니다.

 

 

그래서 주자성리학의 논리는?

 - 리(이)기론 - 세상의 만물은 리와 기로 이루어져 있음

                     - 리(이)는 태극으로 음과 양으로 되어 있으며 만물이 있기 전부터 있던 보편적 원리

                     - 기는 리(이)를 담고 있는 그릇으로서의 재료

 

예) 나무의자가 있다. 나무의자가 있기 전 '앉는다'라는 원리가 있다. 이 원리를 담기 위해 나무로

     의자를 만든다. 여기서 '앉는다'는 리(이)가 되고 나무는 기가 된다.

 

- 리일분수 - 하나의 리(이)가 다양한 기(재료)를 만나 여러 원리가 된다는 뜻

 

- 리기불상리 - 모든 만물에 이(리)와 기가 함께 있고 분리되지 않음

 

- 리기불상잡 - 모든 만물에 이(리)와 기가 함께 있고 분리되지 않으나 본질적으로 둘은 섞이지 않음

 

- 성(본성) - 보편적 원리인 이(리)가 기를 만나면 더 이상 이(리)라고 하지 않고 성(본성)이라고 부름

 

- 성선설 - 주자는 맹자의 성선설을 차용했는데 맹자에 따르면 인간은 하늘로부터 인의예지라는

                보편적 덕성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함. 주자는 사물 또한 선한 본성을 갖고 태어난다고

                생각함

 

- 본연지성 - 성선설에 따른 본성을 말함. 본연지성은 기가 있어야 함

 

- 기질지성 - 기와 본연지성이 합쳐있는 상태

 

- 인간의 악에 대한 설명 - 선한 인간에게서 악이 나오는 이유를 육체(기) 때문이라고 함. 즉 먹고

                                         마시고 자는 욕구가 지나치면 악이 나온다고 함. 따라서 육체(기)의

                                         욕망을 절제해야

 

- 감정 - 인간의 본성이 외부사물을 만났을 때 나타나는 것. 즉 마음의 활동

 

- 감정의 종류 - 사단(도덕적 감정)과 칠정(일반적 감정 : 사단을 제외한 감정)

 

- 사단(도덕적 감정) - 측은, 수오, 사양, 시비지심

 

- 칠정(일반적 감정 : 사단을 제외한 감정) - 기쁨, 노여움, 사랑, 증거움, 슬픔, 미움, 욕심

 

- 심통성정 - 마음은 본성과 기(육체)가 만난 것이므로 본성은 마음 안에 있기 때문에 마음은 본성을

                    제어하고 본성이 외부사물을 만나 발생하는 감정 또한 제어함

 

그래서 결론은 탐욕을 절제해서 인간의 선한 본성을 드러내고 인, 의, 예, 지로 대표되는 유학사상을 따르는 것이 우주의 보편적인 이치를 따르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를 행하는 사회가 문명사회(중화)이고 이를 행하지 않는 것이 바로 야만(오랑캐)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나중에는 문명과 야만을 가르는 것이 유교사상을 얼마나 체화를 잘했는가로 바뀌게 되고 이러한 논리가 중화사상과 사대를 마음속으로 받아들이는 계기가 된 것입니다. 이로 인해 조선의 여러 폐단이 나타나고 결국 망국으로 간 것입니다.